티스토리 뷰

한 해의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며 오랜 세월 이어져온 단오, 알고 계셨나요? 화려한 단오제부터 특별한 음식, 지역마다 펼쳐지는 축제까지—지금부터 단오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단오의 유래와 의미

단오의 유래는 삼국시대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본래는 농경사회에서 여름철의 더위와 질병을 물리치고, 풍작을 기원하는 제사의 의미로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단오는 여성을 위한 날이기도 했습니다. 여인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아 머릿결을 윤기 나게 하고, 나쁜 기운을 몰아냈으며, 그네를 뛰며 건강과 복을 기원했습니다.

 

단오의 의미는 단순한 명절 그 이상입니다. 자연과의 조화, 가족의 건강, 공동체의 화합을 담고 있으며, 현대인에게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전달해줍니다.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 속에 단오의 의미는 더욱 빛나고 있습니다.

 단오제란?

단오(端午)는 음력 5월 5일에 열리는 우리 전통 명절로, 여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한 해의 액운을 막고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날입니다. ‘수릿날’, ‘천중절’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국가적인 명절로 성대하게 치러졌죠.

 

또한, 단오는 설, 추석과 함께 3대 명절 중 하나로 꼽히며, 특히 강릉 단오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전통과 가치를 세계에 알리고 있습니다.

단오에 먹는 특별한 음식

단오에는 더위와 질병을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음식을 먹습니다. 대표적인 단오 음식은 수리취떡(쑥떡)입니다. 수리취나 쑥을 이용해 떡을 만들어 먹으면 건강에 좋다고 전해지죠.

 

이 외에도 쑥 인절미, 창포주(향기로운 술), 약초밥, 오이김치 등 여름철 원기를 돋우는 음식이 즐비합니다. 특히 떡에 붉은 팥을 넣어 나쁜 기운을 막는다는 풍습도 전해집니다.

전국에서 펼쳐지는 단오 행사

단오를 맞아 전국 곳곳에서는 다채로운 행사가 열립니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강릉 단오제로, 무려 천 년 이상의 전통을 지닌 대규모 축제입니다.

 

농악놀이, 단오굿, 관노가면극, 씨름, 그네뛰기, 창포물 머리감기 체험 등 다양한 민속놀이와 문화 행사가 어우러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진주, 남원, 전주 등지에서도 단오를 기념하는 지역 축제가 활발히 개최되며,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단오날은 언제일까?

2025년 단오날은 양력 6월 2일(월요일)입니다. 음력으로는 5월 5일이며, 해마다 음력 기준으로 날짜가 달라지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단오는 절기상 하지에 가까워지는 시점이라 일 년 중 양기가 가장 강한 날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이 날을 중심으로 액운을 몰아내고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전통이 이어져 왔습니다.

마치며

단오날은 단순한 옛 명절이 아닌, 우리의 뿌리를 되새기고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는 소중한 날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한 번쯤 단오의 풍습을 느끼고 체험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