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삼일절 노래

위삐 2025. 2. 17. 17:46

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여 독립을 선언하고 전국적으로 만세운동을 펼친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이날의 정신과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삼일절 노래'가 제정되었으며, 이 노래는 기념식 등에서 불리며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일절 뜻과 의미

삼일절노래

'삼일절 노래'는 한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정인보 선생이 작사하고, 작곡가 박태현 선생이 곡을 붙여 1950년에 공식 제정되었습니다. 가사는 1919년 3월 1일의 독립 만세운동의 열기와 민족의 단결을 생생하게 담고 있습니다.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미년 삼월 일일 정오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삼천만이 하나로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 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하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날을 길이 빛내자

 

 

이 노래는 3·1운동 당시의 뜨거운 열망과 독립을 향한 의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선열들의 희생을 기리며 후손들에게 그 정신을 이어받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강 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는 구절은 나라의 회복과 번영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삼일절 노래는 매년 3월 1일 기념식에서 제창되며, 국민들에게 3·1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데요.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이 노래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 그 존재를 모르는 이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삼일절을 맞아 이 노래를 함께 부르며,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독립을 향한 열망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죠.

삼일절 태극기 게양

삼일절에는 태극기를 게양하여 나라 사랑의 마음을 표현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태극기는 각 가정이나 공공기관에서 게양되며, 이는 국민들의 단결과 애국심을 상징합니다. 이처럼 삼일절 노래와 태극기 게양은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 정신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그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치며

삼일절을 기념하며, '삼일절 노래'를 함께 부르고 태극기를 게양하는 것은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대한민국의 독립과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되새기는 뜻깊은 행위입니다.